MTB 자전거를 선택할 때 핸들바는 라이딩 스타일, 편안함, 그리고 자전거 컨트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핸들바가 존재하며, 각기 다른 특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핸들바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준을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핸들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TB 핸들바 선택 기준
- 라이딩 스타일: 어떤 종류의 MTB 라이딩을 주로 즐기는지에 따라 적합한 핸들바 형태와 너비가 달라집니다.
- XC (크로스컨트리): 빠른 속도와 효율적인 페달링을 위해 넓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플랫바 또는 약간의 라이즈가 있는 라이저바가 주로 사용됩니다.
- 트레일/올마운틴: 다양한 지형에서 안정적인 컨트롤을 위해 적당한 너비와 라이즈를 가진 라이저바가 선호됩니다.
- 다운힐/프리라이드: 거친 지형에서의 뛰어난 컨트롤과 안정성을 위해 넓고 높은 라이즈를 가진 라이저바가 사용됩니다.
- 너비 (길이): 핸들바 너비는 라이더의 어깨너비와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 결정됩니다. 핸들바의 길이는 자전거 컨트롤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넓은 핸들바: 안정적인 컨트롤과 코너링에 유리하며, 특히 다운힐과 같이 빠른 속도와 기술적인 지형에서 자전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넓은 팔 간격은 더 큰 힘을 발휘하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좁은 핸들바: 공기 저항을 줄여 속도 유지에 유리하고 좁은 구간 통과가 쉽습니다. XC 레이스와 같이 빠른 속도와 민첩성을 요구하는 라이딩에 적합합니다.
- 일반적으로 XC는 700-740mm, 트레일/올마운틴은 740-780mm, 다운힐은 780-840mm 정도의 너비를 사용합니다. 최근 트렌드는 넓은 핸들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라이더의 신체 조건과 선호도에 따라 적절한 너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넓은 핸들바는 어깨와 손목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라이즈 (Rise): 핸들바 중앙 부분부터 그립 부분까지의 수직 높이를 의미합니다.
- 높은 라이즈: 보다 편안한 상체 포지션을 제공하며, 다운힐과 같이 기술적인 라이딩에서 자전거 컨트롤에 유리합니다.
- 낮은 라이즈 또는 플랫: 공격적인 라이딩 포지션을 제공하며, XC와 같이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라이딩에 적합합니다.
- 백스윕 (Backsweep): 핸들바가 라이더 쪽으로 굽어진 각도를 의미합니다. 백스윕은 라이더의 손목 각도와 편안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5-9도 정도의 백스윕이 적용된 핸들바가 많으며, 이는 손목의 자연스러운 각도를 유지하여 장시간 라이딩 시 피로감을 줄여줍니다. 백스윕 각도가 클수록 손목이 더 편안한 위치에 놓이지만, 핸들링 반응성이 약간 느려질 수 있습니다.
- 업스윕 (Upsweep): 핸들바 끝부분이 위로 향하는 각도를 의미하며, 손목의 자연스러운 각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재질: 주로 알루미늄과 카본 섬유가 사용됩니다.
- 알루미늄: 강성이 뛰어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며 내구성이 좋습니다.
- 카본 섬유: 가볍고 진동 흡수율이 뛰어나 피로감을 줄여주지만, 가격이 비싸고 충격에 약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선호도: 위에서 언급된 기준 외에도 라이더의 신체 조건, 유연성, 그리고 개인적인 편안함 선호도가 핸들바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여러 형태의 MTB 핸들바 특장점
- 플랫바 (Flat Bar):
- 특징: 일자 형태의 핸들바로, XC나 하이브리드 자전거에 주로 사용됩니다. 백스윕이 거의 없거나 아주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 장점: 가볍고 조향 반응성이 빠르며, 업힐 시 체중을 앞으로 싣기 용이하여 페달링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빠른 속도를 유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 단점: 라이딩 포지션 변화가 제한적이고,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 장거리 라이딩 시 피로감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지형에서의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라이저바 (Riser Bar):
- 특징: 중앙 부분보다 그립 부분이 높게 올라온 형태의 핸들바로, 트레일, 올마운틴, 다운힐 자전거에 주로 사용됩니다. 플랫바에 비해 백스윕 각도가 더 큰 경우가 많아 손목의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라이즈 높이에 따라 로우, 미드, 하이 라이저바로 구분됩니다.
- 장점: 플랫바보다 편안한 상체 포지션을 제공하여 장시간 라이딩 시 피로감을 줄여주고, 넓은 너비와 높은 라이즈는 기술적인 지형에서 자전거 컨트롤을 용이하게 합니다. 충격 흡수력이 플랫바보다 좋습니다.
- 단점: 플랫바에 비해 무게가 약간 더 나가고, 공기 저항이 클 수 있습니다.
- 카본 핸들바 (Carbon Handlebar):
- 특징: 카본 섬유로 제작된 핸들바입니다.
- 장점: 알루미늄 핸들바보다 가볍고 진동 흡수율이 뛰어나 장거리 라이딩 시 피로감을 줄여줍니다.
- 단점: 가격이 비싸고, 강한 충격에 파손될 위험이 알루미늄보다 높습니다.
플랫바 라이저바
플랫바와 백스윕바의 차이와 기능: 핵심적인 차이는 백스윕의 유무 또는 각도입니다.
- 플랫바: 거의 수평에 가까운 형태로 백스윕이 거의 없거나 아주 적습니다. 이는 라이더가 보다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하며, 페달링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조향 반응성을 제공합니다. 주로 속도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XC 라이딩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손목에 부담을 줄 수 있고, 장거리 라이딩 시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백스윕바 (라이저바에 주로 적용): 라이더 쪽으로 굽어진 각도(백스윕)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백스윕은 손목이 보다 자연스럽고 편안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어 장시간 라이딩 시 피로감을 줄여줍니다. 또한, 넓은 너비와 함께 안정적인 핸들링을 제공하여 기술적인 지형에서의 컨트롤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트레일, 올마운틴, 다운힐과 같이 다양한 지형과 컨트롤이 중요한 라이딩에 적합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MTB 핸들바를 선택하는 것은 라이딩의 즐거움과 안전에 직결되는 중요한 결정입니다.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하고, 가능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로 자전거를 타보면서 자신에게 가장 편안하고 컨트롤하기 쉬운 핸들바를 찾아나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 다음 글도 읽어보세요! -----
날렵하고 정밀한 성능, 프레스타 밸브 (Presta Valve) 완벽 분석
로드 바이크나 고급 자전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날렵한 형태의 프레스타 밸브는 슈레더나 던롭 밸브와는 확연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압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퍼포먼스를 중시하는
exto.tistory.com
----- 입문용 MTB 추천 -----
Phillips 알루미늄 MTB 자전거 풀샥 산악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오프로드 : kimsplex
[kimsplex] 고객 감동을 위하여
smartstore.naver.com
'MTB 기초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바퀴 사이즈, 알고 타면 더 즐겁다! (단위 완벽 정리) (0) | 2025.05.03 |
---|---|
자전거 기어비 완벽 이해: 효율적인 라이딩의 핵심 (초보자 필독) (0) | 2025.05.03 |
펑크 걱정은 이제 그만! MTB 자전거 튜브리스 타이어 완벽 분석: 장점, 단점, 장착법, 관리법 (0) | 2025.04.19 |
MTB 자전거 사이즈 선택 가이드: 키와 다리 길이로 완벽하게 맞추는 법 (0) | 2025.04.14 |
MTB 자전거 라이딩에 꼭 필요한 안전 도구 총정리 (0) | 2025.04.13 |